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내주식 / 해외주식/ 주식 투자 주요 종목 동향 / 주식강의 3월 26일

by 세계여행오리형 2025. 3. 27.
반응형

📉시장 개요

트럼프 관세 유예 기대감 속 상승 마감

 

 

 

2025년 3월 26일 코스닥 시장은

미국 트럼프 전 대통령의 상호 관세 유예 및 면제 관련 발언이

호재로 작용하며 상승 마감했다.

 

미국 3대 증시가 강세를 보인 가운데 코스닥 지수는

공매도 재개 등 국내 이벤트를 앞두고 0.73% 상승한 716.48포인트로 장을 마쳤다.

 

기관과 외국인의 매수세가 건설 및 전기·전자 업종의 강세를 견인했으며,

LG 배터리 산업 육성 발표 소식이 관련 종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250326코스닥시장일일동향.pdf
0.13MB

 

 

 


📉주요 종목 동향

  • 코이즈 (+25.86%): LG 배터리 산업 육성 발표에 급등
  • KBI메탈 (+6.65%): 트럼프 관세 우려 속 구리 가격 상승에 따른 수혜

상한가 종목은 7개, 하한가 종목은 1개로 집계되었다.

상승 종목은 912개, 하락 종목은 678개, 보합 종목은 132개였다.

 

🏢코이즈 기업 보기

 

 

 

 

🏢KBI 메탈 기업 보기

 

 

 

 


📉해외 증시 및 환율 동향

  • Nikkei 225: 38,027.29 (+0.65%)
  • 상해 종합지수: 3,368.70 (-0.04%)
  • 달러-원 환율 (16시 기준): 1,466.00원 (+0.17%)

미국 증시 상승과 일본 닛케이 지수 강세가

아시아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중국 증시는 소폭 하락했다.

 

원·달러 환율은 1,466원으로 소폭 상승하며 환율 변동성이 지속되는 모습을 보였다.


📉주요 지수 및 거래 현황

  • 코스닥 지수: 716.48 (+5.22p, +0.73%)
  • 거래량: 6.9억 주
  • 거래대금: 5.3조 원
  • 시가총액: 366.97조 원 (전년 말 대비 +7.9%)

📉코스닥 지수 변화 추이

날짜

코스닥 지수(P)

시가총액(조원)

거래량(억 주)

거래대금(조원)

2024년 말 678.19 340.15 9.61 8.34
2025.03.21 719.41 368.14 8.51 7.68
2025.03.24 720.22 368.84 8.48 7.63
2025.03.25 711.26 364.23 8.45 7.60
2025.03.26 716.48 366.97 8.43 7.56

코스닥 지수는 연초 대비 5.6% 상승하며 강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거래량과 거래대금이 다소 감소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투자자별 매매 동향

  • 외국인: +639억 원 매수
  • 기관: +668억 원 매수
    • 금융투자: +1,005억 원
    • 투신: -198억 원
    • 연기금: -68억 원
  • 기타 법인: +2억 원
  • 개인: -1,310억 원 매도

연간 누적 기준으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0,752억 원, 13,518억 원을 순매도했으며,

개인은 29,066억 원을 순매수했다.

 

기관 투자자 중 연기금과 투신이 매도세를 보였으나, 금융투자는 꾸준한 매수세를 유지하고 있다.


📉업종별 동향

  • 건설업 (+3.50%): 대형 건설사 중심으로 강세
  • IT 서비스 (+1.83%): 디지털 전환 및 AI 관련 수요 증가
  • 전기·전자 (+1.20%): 반도체 및 배터리 관련주 상승

LG 배터리 산업 육성 발표가 영향을 미치며

전기·전자 업종이 강세를 보였다.

 

또한, 건설업 역시 경기 부양 기대감에 힘입어 상승했다.


📉신용 잔고 및 공매도 현황

신용 잔고 추이 (조원)

기간

2023년 말

2024년 말

2025.03.20

2025.03.21

2025.03.24

2025.03.26

신용 잔고 8.5 6.6 7.8 7.8 7.8 7.7

공매도 금액 (억 원)

날짜

2025.03.20

2025.03.21

2025.03.24

2025.03.25

2025.03.26

공매도 금액 67 90 99 125 122

공매도 금액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투자자들은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시장 전망 및 투자 전략

트럼프 전 대통령의 상호 관세 유예 기대감으로 인해

코스닥 시장이 상승세를 보였지만,

국내 공매도 재개 및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투자 전략

  • 건설 및 배터리 관련주 관심 유지: LG 배터리 산업 육성 발표에 따른 투자 기회 포착
  • 공매도 증가에 따른 변동성 관리: 공매도 증가세를 고려해 리스크 관리 필요
  • 환율 및 글로벌 증시 동향 주시: 원·달러 환율 상승이 수출주에 미치는 영향 고려

코스닥 시장은 당분간 글로벌 증시 흐름과

국내 정책 변화에 따라 변동성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철저한 리스크 관리와 업종별 투자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반응형